본문 바로가기
STUDY/Python

[1] 파이썬 기초 : 변수, input() 함수

by secumark 2022. 2. 9.
728x90

집에 있던 <시간순삭 파이썬>으로 다시 기초를 공부했다.

 

변수

 

변수: 자료, 결괏값을 보관하는 공간

 

변수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출력하는 과정

 

이런식으로 x=300을 저장하고, print(x)를 하면 변수가 출력된다.

여기서 등호는 '같다'는 것을 표현하는 것이 아닌 오른쪽의 값을 왼쪽의 변수에 저장하라는 뜻이다.

변수니까 당연히 언제든지 저장된 값이 변경될 수 있다. 지금은 x에 300이 저장되어 있지만, 다시 100을 저장하면 값이 100으로 바뀐다. 

 

원래 저장되어 있던 300이란 수는 사라지고 100으로 바뀌는거임.

 

 

그리고 y라는 변수를 하나 더 만들어서 여기엔 300이란 수를 넣어줬다. sum 변수도 하나 더 만들어서 x와 y의 합을 저장한 후 sum을 출력해줬다. 결과는 400!

 

* x=y라고 하면 x와 y가 같다는 뜻이 아니라, x라는 변수에 y를 대입한다는 뜻이다.

 

 

 

 

이런식으로도 저장할 수 있음.

x에 x+100라는 값을 저장한다는 뜻!

 

지금까지는 변수에 숫자만 저장했지만, 당연히 문자열도 저장할 수 있다. 그대신 작은 따옴표('')나 큰 따옴표("")를 꼭 붙여서 저장해주어야 한다.

 

 

 

name이라는 변수를 만들고 소괄호() 안에 큰 따옴표. 나는 작은 따옴표보다 큰 따옴표가 더 편해서 큰따로 써줬다.

 

 

문자열로 사용된 숫자나 그냥 숫자는 엄연히 다른 뜻으로 해석된다. 큰 따옴표가 써지면 무조건!! 문자로 인식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문자열이랑 숫자를 같이 써줬는데 이렇게 출력됨.

 

* 변수에 쓰이는 영어는 소문자와 대문자를 구별함

 

print 함수를 사용해 여러개의 변수, 문자열을 출력하려고 할 때 보통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는데 하나는 쉼표를 이용해서 연결하는 법, 하나는 + 기호를 사용해 연결하는 법이다.

두 방법 모두 연결해서 출력한다는 특징이 있지만, 결과가 조금 다르게 나타나는데, 쉼표를 사용하면 변수, 문자열 사이에 공백이 생기고, + 기호를 사용하면 공백 없이 출력된다.

 

 

쉼표는 띄어쓰기, +는 공백 없이!

 

 


 

input() 함수

 

input() 함수는 내가 직접 값을 입력했을 때 파이썬이 그 값을 저장하는 것이다.

 

 

a라는 변수에 input 함수를 만들어주고 거기에 숫자 12344를 대입했다.

그냥 a라고 치니까 '12344' 로 출력되고 print(a)를 했더니 12344가 출력된다. 🥱

 

input()에는 문자열이 저장된다는 것을 알아두자.

 

 

참고로 input 함수 안에 문자열을 적어줄 수 있는데, 필요한 입력값의 조건을 넣어둘 수 있다.

그리고 출력할 땐 내가 입력한 값만 출력됨.

 

호호

 


 

그런데 input()에는 문자열만 저장할 수밖에 없을까?

 

아니다.

 

input() 함수에도 정수나 실수를 저장할 수 있다. 정확하게 말하면 정수, 실수로 값을 변환해주는 것이다.

 

 

똑같이 input 함수를 적용하고, 겉을 int로 감싸주면 된다. 

int는 정수를, float은 실수를 의미한다. (파이썬에서도 byte, short, double 등을 사용하나?)

 

 

사칙연산 다 가능

 

 


 

Labs 1

 

책에서 내가 원하는 원 그리기를 해 보란다.

 

radius랑 color 변수에 입력값을 저장해야 함

 

 

 

원 반지름은 int로 저장해주고, 원 색깔은 문자열이니까 그냥 input 함수만 써주면 된다. 여기서 데이터 입력할 때 띄어쓰기 하면 안됨.. 띄어쓰기 한거까지 다 저장돼서 오류난다.

그리고 begin_fill(), end_fill() 함수를 써주면 모양 안에 색깔을 채워주나보다.

end_fill()까지 모두 마무리 해줘야 그때 색이 채워짐.

 

 

 


짜잔~~

 


 

Labs 2

 

빛의 속도 = 약 30만 km/s

소리의 속도 = 약 340 m/s

 

번개가 치고 천둥소리가 들리기까지의 시간(초)를 입력해 나의 위치에서 천둥번개가 발생한 장소까지 거리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내 위치에서 번개 친 장소까지의 거리는 (소리 속력 * 측정 시간)

 

 

 

이것도 틀린건 아닌데 이왕이면 변수를 문제와 관련있는 단어로 정의해주면 좋겠다.

그리고 굳이 x=340을 정의해줄 필요는 없는듯

 

 

 

sec은 초, distance는 340 * sec로 소리의 속력과 측정 시간을 곱해줬다. (공식)

 

 

 

 

 


 

공부시간: 60분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