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Python

[3] 파이썬 기초 : 자료의 종류 정수, 실수, 문자열

by secumark 2022. 3. 10.
728x90

머쓱할 정도로 너무 늦게 돌아온 나.. 정처기 필기 보고 나름 빠르게(?) 돌아왔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선 변수에 저장할 수 있는 자료가 어떤 종류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정수: -5, -4, -3, -2, -1, 0, 1, 2, 3, 4, 5

실수형: 말 그대로 실수. -5.3, 6.8 

문자열: 큰따옴표나 작은따옴표로 둘러싸여 있으면 문자열. 89 같은 숫자도 "89", '89' 이렇게 되어 있으면 문자열로 취급한다. 

 

 

파이썬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 C나 Java처럼 자료형을 선언하지 않아도 알아서 저장된다.

 

자료형이 뭔지 확인하는 함수는 type()

 

문자열을 쓸 땐 작은따옴표('')나 큰 따옴표("") 상관없이 모두 써줘도 상관없지만 따옴표 안에 또 따옴표를 쓸 때는 다음과 같이 써준다.

x="my name is 'haeily'"

 

 

유의해야 할 점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아무리 정수라 해도 문자열 자료형에 저장되면 문자열로 인식하기 때문에 꼭 이 둘을 구분해주어야 한다. 

 

이 둘은 엄연히 다르다는 것..

"123"+"456"은 123과 456 숫자를 더하는 게 아니라 문자열을 서로 붙여놓은 것이다!!

 

또한, print문을 작성할 때 문자열과 정수, 실수는 함께 쓸 수 없다.

 

 

오늘은, 월, 일은 문자로 취급하고, 3과 10은 숫자로 적어주었다. 그런데 print 했더니 오류가 생겨버린 것. 그 이유는 print문에서 +로 연결할 땐 문자열은 문자열끼리만, 숫자는 숫자끼리만 연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줄 바꿈을 하고 싶을 땐 개행 문자(\n) 또는 따옴표 세 개(''', """)를 작성해준다.

 

 

 

인덱스

 

 

 

M ~부터 차례대로 글자가 채워지는데, 맨 앞부분에 있는 M은 0번째 자리에 있는 글자이다. 그래서 a[0]을 치면 M이 출력되고, 2번을 출력하면 공백도 같이 출력됨.

참고로 음수로 출력될 때도 있는데, 음수는 맨 오른쪽부터 차례대로 세는 것이다. 그대신 0이 아닌 -1부터 왼쪽으로 갈 때마다 -1씩 더 작아짐!

 

여기서 중요한 개념

변수 a가 있을 때 a[0:9]라는 명령이 주어지면 이는 0부터 8까지 문자열을 출력한다는 것이다. 왼쪽에 있는 숫자부터~ 오른쪽에 있는 숫자-1한 값까지!!

 

또 안에 세 개의 수가 들어갈 수도 있는데,

a[1:9:1]이라고 쓰여있을 때 첫 번째 숫자가 두 번째보다 작고, 세 번째에 있는 수는 양수라면 0부터 8까지 1 간격으로 문자를 출력하게 된다.  

a[-1:-9:-1] 이렇게 쓰여있으면 -1부터 -8까지 -1 간격으로 문자 출력!

 

a[0::1]은 0부터 문자열 끝까지 1 간격으로(문자 전체) 출력

a[-1::-1]은 오른쪽 문자부터 왼쪽 문자까지 차례대로 출력하는 것이다. 즉 거꾸로 출력하는 것.

 

 

도전과제 문제) 사용자로부터 기호 2개를 입력받고 그 사이에 추가로 입력받은 문자열을 삽입하는 프로그램 만들기

예시) 기호를 입력하시오:[]

중간에 삽입할 문자열을 입력하시오:movie

결과 -> [movie]

 

 

 

a에는 기호를 입력할 문자열을 저장했고, b에는 기호 사이에 삽입할 문자열을 저장했다.

그리고 a[0]+b+a[-1]이라는 식을 만들어 c라는 새로운 변수에 저장해주었고, 이를 print 했더니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왔다.

 

 

 

 

 

Lab 문제 5개는 다음 포스팅에서!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