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엥..!! 근데 지금 알게된건데 분명 Level 20~23 이 사이에 있던 문제가 최근에 바뀐 것 같다. 내가 작년 여름에 여기 있는 문제 중에서 어떤 서버에 접속 했는데 (뭔지 기억이 안남..) 거기서 나랑 똑같이 이 문제를 풀고 있던 외국인 몇 명을 봐서 인사도 하고 그랬는데 (ㅋㅋㅋㅋ) 그 문제가 없어졌다..!! 뭐지..? 혹시 이 문제의 행방을 알고 계신 분은 댓글 주시면 감사합니다..

앗 또 git 문제다
보니까 마지막 문제까지 다 git 문제다 ㅋ

mkdir로 /tmp 폴더에 gitgit 이라는 디렉터리 만들어서 git clone해줬다.

repo 폴더 안에 README.md 파일이 들어있어서 읽어봤더니 다음과 같이 적혀있었다.
file name: key.txt...
branch는 master

log -p로 log 기록 한번 보고..

branch도 써줌
딱히 쓸만한게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숨겨진 파일이 있나해서 repo 디렉터리에서 ls -al 명령어를 써줬는데, .gitignore이라는 파일이 보였다. 읽어봤더니 *.txt라는 문자열..만 들어있었음
일단 다시 README.md 안에 있는 파일 내용을 읽어봤는데, master 브랜치로 key.txt가 있었으니까.. 이걸 한 번 만들어보자.

echo로 쉽게 만들어줌.
그리고 이걸 add commit push 해주면 되는데, git을 사용할 때 가장 기본적인 개념이 바로 이 add, commit, push 단계다.
add는 commit을 하기 전에 해주는 임시 저장? 같은 개념이다.

보통 add 해줄땐 -f 옵션을 같이 써준다.
git add -f key.txt

그 다음으로, commit 명령어, 보통 -m 옵션이랑 같이 써주고 -a 옵션은 add랑 commit을 동시에 해주기도 한다! 그리고 -m 뒤에 오는 큰 따옴표는 자유롭게 써주면 됨.
commit은 이제 코드 변경 이력을 남기기 위해서 쓰는거고, push까지 해줘야 이 이력들이 원격 저장소로 전송이 되는거다. 원격 저장소는 origin이라는 이름을 가진다. 그리고 현재 branch는 master니까

다음과 같이 써주면 된다.
그럼 마지막에

well done! 이라고 하면서 level 32로 가는 비밀번호를 알려준다.
이제 git 사용법을 좀 더 확실하게 알게된 거 같다.
'Pwnable > Band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 [Bandit Level 32->33] 마지막 문제 sh (0) | 2022.02.17 |
|---|---|
| [Bandit Level 30->31] git 활용하기 (4) (0) | 2022.02.15 |
| [Bandit Level 29->30] git 활용하기 (3) (0) | 2022.02.14 |
| [Bandit Level 28->29] git 활용하기 (2) (0) | 2022.02.08 |
| [Bandit Level 27->28] git 활용하기 (0) | 2022.02.07 |
댓글